DeadLock과 Redis 대기열 사용하기 - (1)
·
운영체제
이번에는 저번 구글 I/O Extended 2023 백엔드에서 들었던 GDG Incheon 백엔드 양일표 개발자님께서 강연해주셨던 DeadLock과 Redis 대기열 사용하기에서 새로 알게 된 내용과 깨달은 점을 정리해보려고합니다. 🧐 DeadLock 우선 DeadLock이란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서로 기다릴 때 무한 대기에 빠지는 상황을 일컫습니다. 이 때 DeadLock에 대한 해결법이 여러가지가 있는데 강연 중 소개해주신 해결법들은 트랜잭션의 크기, 방향, Lock, 격리 수준, 쿼리 튜닝, @Retryable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방법입니다. 1. 트랜잭션 크기 조절 트랜잭션 분할: 큰 트랜잭션을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실행하면, 더 적은 자원을 점유하므..
[TIL]23.08.26(토) - I/O Extended 2023 Incheon
·
TIL
8월 26일 토요일에 인천 스타트업파크에서 구글 IO에서 발표한 기술과 개발자들의 열정, 지식을 나누는 자리인 I/O Extended에 갔다왔습니다! 우선 세션은 Web, Backend, Flutter, Android, Machine Learning 등이 있었는데 저는 Backend분야에 관심이 있어 해당 강의를 들었어요. 위에는 백엔드 세션 시간표인데 각 교시마다 개발자분들이 나와서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강연해주시는 방식이었습니다. 여기서 들은 내용들 중에 저는 메세지 큐와 Redis, Feature Flag, 모놀리스 등등 인상 깊었던 주제들에 관해서 추후 알게 된 점을 포스팅할 예정입니다. 그리고 라인 개발자 분이신 김인제 개발자님이 강연해주신 이벤트 루프는 NETTY와 ARMERIA를 모르는 상태..
yunchan^.^